식품영양/조리학
(2023.3.29)지역사회영양학(김기랑외) 앞표지
분류 식품영양 • 조리학
도서명

 지역사회영양학

저자명

김기랑 김현자 박소현 송수진 심재은 유현주

정가 23,000 원
페이지 320p (컬러)
ISBN 978-89-8160-507-0 (93590)
발행일 2023년 03월 30일

소개

지역사회영양학은 역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을 위해 학제적으로 접근하는 실천적 학문이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의 건강에 물리적·사회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기 때문에 공적 영역에서의 정책적 접근이 중요하다. 지역사회영양 전문가로서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고 개선해 가기 위한 역량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2장과 3장에서는 영양 관련 정책과 실제 사례를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행정체계와 법령체계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우리나라의 현재 영양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기초적인 영양역학 자료를 다양하게 소개하여 지역사회영양의 프로그램과 정책을 고민하는 시작점으로서 문제를 공유하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의 문제를 진단하는 과정은 지역사회 영양사업 기획의 근간을 이루는 부분임에도 실제 현장에서는 생략하거나 끼워맞추기식의 진단에 그치기도 한다. 이에 5장에서는 현장에서 문제 진단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여러 이차 자료들을 소개하고, 양적조사뿐만 아니라 질적조사까지 다양한 문제 진단방법을 소개하는 데 책의 많은 부분을 할애하였다.

건강증진을 위한 사람들의 행동변화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검증된 요인들을 다룰 수 있도록 문제 진단단계부터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6장에서는 사람들의 건강행동변화를 다루는 이론과 모델을 학습하는데, 개인, 사회적 관계, 정치적·제도적 맥락에서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교재와는 다른 관점에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7장에서는 앞 장에서 지역사회 건강 및 영양 문제의 진단과정에서 발견된 여러 문제와 이에 관련된 요인들 중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을 선별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영양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지역사회 영양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단계로 문제해결 중심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사업의 내용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8장에서는 지역사회 영양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해 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다루었다. 특별히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평가 사례를 수록하여 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고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9장에서는 국제 영양 문제와 국제기구 및 민간단체의 영양 중재 활동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나타나는 새로운 영양문제들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식품영양 전문가로서의 시야 및 활동 범위를 넓히고자 하였다.

영양사가 국가가 관리하는 면허의 대상이 된 지도 60년이 지났다. 급식관리 중심으로 시작된 영양사의 직무는 사회 곳곳의 현장에서 지역사회의 영양개선과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직무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식품영양 전문가로서 활동하는 그 현장에서 공동체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개선활동 수행의 역량을 높이는 데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저자

김기랑

미국 코넬대학교 이학박사

현재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김현자

한양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박소현

미국 존스홉킨스 보건대학원 박사

현재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송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현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심재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현재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유현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현재 (사)식생태문화협회 이사

목차

1. 지역사회 및 지역사회영양학 소개

1. 지역사회와 공동체

2. 지역사회영양학이란?

 

2. 영양정책과 행정체계

1. 영양정책

2. 행정체계

3. 식품영양 법령체계

 

3. 영양정책 현황 및 영양사업 사례

1. 영양정책 현황

2. 영양사업 추진 사례

 

4.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과 영양 실태

1. 사회구조 및 사회환경의 변화

2. 건강 행태 및 주요 만성질환 실태의 변화

3. 식생활과 영양 섭취의 변화

 

5. 지역사회 진단 및 요구 조사

1. 지역사회 영양사업 개발과정

2. 지역사회 진단

3. 지역사회 건강 및 영양 문제 진단을 위한 연구방법

4. 지역사회 건강 및 영양 문제 진단을 위한 양적조사의 실제

5. 지역사회 건강 및 영양 문제 진단을 위한 질적조사의 실제

 

6. 이론과 모델을 이용한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개발

1. 건강행동이론과 모델

2. 지역사회 영양사업 기획과정을 제시하는 모델

 

7.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목표 설정과 설계

1. 문제 진단에 따른 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2. 목적과 목표 설정

3.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설계

 

8.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실행과 평가

1. 영양프로그램의 성공요소와 실행 전략

2. 영양프로그램의 실행계획과 관리

3. 영양프로그램의 평가 계획

4. 영양프로그램의 평가 실행

3) 지역사회 영양사업 평가의 실제 259

 

9. 국제 영양 문제와 국제기구의 영양 활동

1. 국제 영양의 중요성

2. 국제 영양 문제 및 현황

3. 국제기구의 영양 활동

4. 민간단체의 국제 영양 활동

 

부록

1. 부처별 관련 업무

2. 보건복지부 영양사업(통합건강증진사업) 추진체계

3. 식품영양정책 관련 법령 및 소관부처